오고 또 와도 서툰 꾀꼬리 우리 집 담장+ 겨우 스물 두셋 시절 일다경에 대해 뭔가 끄적인 적 있었다 얼핏 그럴 듯해 보였지만 득함이 없는 시늉이었을 뿐, 그래서 굳이 ‘頃’자를 붙여 부끄러움을 되새기며 고바야시 잇사小林一茶의 삶을 돌아본다 아들 셋과 딸 둘, 세 사람의 여인을 만나 함께 하였으나 닿는 것 스치는 것 모두 찔레꽃인양+ 그다지 사랑받지 […]
유로파, 금단의 세계
오래 전 그는 얼음 바다의 작은 틈새로부터 물이 솟아오르는 것을 잠시 살펴보고는 유로파를 떠났다. 그게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리즈의 두 번 째였는지 세 번 째였는지는 가물가물하다. 그들 외계 지성체가 결코 가지 말라고 경고한 작은 별이 있었으니 바로 유로파다. 유로파는 갈릴레이가 발견한 목성의 큰 위성 4개 가운데 하나로 표면온도가 영하 171.15°C이다. 하지만 목성의 조석력에 의한 지열로 […]
조금 지저분한 이야기
尿酸/uric acid 퓨린 유도체로서 탄소, 산소, 수소, 질소 등으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이다. 동물의 배설물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사람의 오줌에는 하루에 0.6~1.0g이 배출된다. 화학식 C5H4N4O3. 맛과 냄새가 없는 흰색 결정이며, 에탄올 에테르에는 녹지 않고, 물에는 약간 녹는다. 가열해도 융해하지 않고 400℃ 이상에서 분해한다./두산백과사전 요즘 말로 ‘극혐’이다. 변명의 여지도 없다. 혼자 쓰는 사무실 화장실이 정말이지 무척 […]
위대한 작가가 되는 법
<술고래>를 처음 봤을 때부터 헨리 치나스키를 무척 좋아했다. 바텐더와 돈을 나누는 장면을 마음에 들어했고, 결국 그녀와 함께 돌아간 술집의 시끌벅적한 풍경도 그랬다. 그리고 그가 어느 정도는 찰스 부코스키 자신일 것이라고 기대도 했다. 시집 <사랑에 대하여>는 매우 사실적인만큼 노골적이었다. 또 터무니없는 허세를 펼쳐보이다가도 가끔은 나름의 방식으로 기품도 있었다. 그게 시인지 아니면 짧은 이야기인지 구분하기는 쉽지 않은 […]
……and smell the coffee
이름을 듣고 또다시 보게 되네 풀에 핀 꽃들 /데이지 아마도 2001년이었을 거다. 앨범 타이틀만 해도 마음이 움직였는데 거기 어찌 못할 그리움을 불러일으키는 “never grow old”가 있었다. 그녀 dolores o’riordan이 “forever young”이라고 노래할 때 내 마음도 어딘가를 향해 노래속의 새처럼 달아나고 있었다. 하지만 영원한 젊음의 길이란 오직 단 하나뿐이어서 이 노래의 서글픈 역설은 절대 지워지는 […]
a restless wind inside a
달리 들을 길이라곤 없었던 것 같은데 처음부터 이 노래는 이상하게 귀에 익은 느낌이었다. 라디오가 거의 유일한 채널이었던 시대였지만 그래서 귀에 익은 것이 아니라 기시감, 아니 ‘기청감(déjà entendu)’을 불러일으켰고 묘하게도 그것은 돌아갈 길 없는 시간 또는 장소에 대한 향수를 느끼게 했다. 오케스트레이션이 들어간 <let it be> 버전도 좋았지만 ‘세계 야생동물 기금’에의 기부를 위해 만들어진 앨범에 수록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