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포도아에서 파서를 그리워 함.

화이트 앨범이 세상에 나온지 얼마 되지 않았던 1968년의 어느 겨울 날 ㅡ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는 이탈리아로 가는 길에 잠시 포르투갈에 들러 리스보아에 있는 아말리아 호드리게스의 집을 방문했다. 그곳에서 카를로스 아리 도스 산토스, 나탈리아 코레이아 등의 시인들과 만나 시편들을 낭송하고 노래를 불렀다. 그 가운데는 그 무렵 작곡한 것으로 추정되는 노래도 있었는데 saudades do brasil em portugal이 […]

Read More

embers, 또는 나에 관해서 이야기할 때

불 꺼진 다리미라 쓸 곳이 전혀 없어 가만히 피릿대로 꺼진 재를 헤쳐 보네 /금오신화 이생규장전, 김시습   마이크 올드필드를 처음 들었을 때는 충격이었다. 희로애락이 그대로 담긴 듯한 튜뷸러 벨즈의 어떤 부분에 빠져들었고, 초기의 세 앨범에 대해서도 비슷하니 그랬다. 이후의 몇몇 소품들도 나름 괜찮았지만 더이상의 새로움을 찾기는 힘들었다. 그의 음악적 여정은 누구도 시도한 적 없는 도전으로 […]

Read More

(필요없는) 번역

가끔 “지금 이 기분”을 대신할만한 노랠 생각하는데 실없이 시간을 보내곤 한다. 오늘도 숱한 후보들이 있었으나 모두 사라졌고 뜨라두지르-씨 traduzir-se가 귀에 들어왔다. 이것이었다. 이 노래의 가사가 페헤이라 굴라르의 시에서 왔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나는 이 복잡하게 생겨먹은 단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몰랐다. 굴라르의 이름을 처음 알게 된 것은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 다큐멘터리를 통해서였으나 번역 자막이 없었던 까닭에 그에 […]

Read More

리듬 본

케일과 옛 친구들 ㅡ 동료 연주자들의 자유롭고도 멋진 한 순간을 잠깐 돌아볼 수 있는 곡이다. 기타 연주 하는 부분을 보면 다른 연주자들의 솔로도 꽤 멋지고 부담없이 편안한 분위기는 보는 이에게도 비슷한 느낌을 준다. <rythmn bone>은 2003년 그의 고향 털사(오클라호마)의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것으로 언젠가는 이 곡을 포함한 일련의 세션들이 앨범으로 나오기를 기대해본다. 리듬 본(rythmn bones)은 본래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