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볼륨을 높여라, 카루소

그렇게 멀지 않은 나의 적막한 밸리 포지+, 일찍부터 움직여 차를 달렸다. 이제는 좀 쌀쌀한 날씨라 차창을 열고 운전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그리고 밸리 포지를 향한 나의 길은 그 영화 제목 같은 “침묵의 질주”는 아니다. 창문을 제법 열고 운전을 한다.(하이브리드 차량 운전자로서 아직 히터는 잘 켜지 않는다.) 그리고 음악을 듣는다. 지나가는 차나 정차시 옆에서 들으라고 차창 […]

Read More

어떤 것은 삶이고

얼마나 긴 시간이었을까 그것은 유구한 팰럼세스트palimpsest에 두 존재의 이야기를 더하고 고쳐 쓰는 일 ―― 결국 잠 이루지 못하고 일어나 화장실 불을 켜니 아슬아슬한 문틈에 쌀나방 두 마리 죽은 듯 잠들은 듯 꽁지를 맞대고 있다 어떤 것은 삶이고 또 어떤 것은 시늉이다     /2019. 11. 2.  

Read More

다음 이 시간에…

우리들 모여 밤새 이야기 나눌 적엔 화장실 가는 것도 미안하였지 그 마음 한 조각 달아난 자리 여태 깨어나지 못한 어느 행성의 눈부신 아침 별빛의 끝까지 어둠의 끝까지 아스라히 달려 다시 그날 밤 어떤 미안함도 없이 밤새 또 밤새 이야기 나눌 우리들의 다음 이 시간   + 이 시를 처음 쓴 것은 2009년이었다. 생각은 물론 2000년까지 […]

Read More

도에 관심 있으십니까…

하고 역전에서 누가 묻는다면 제일 좋은 퇴치법은 “스미마셍”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아무튼… 내게 그렇게 물었던 청년들에겐 ‘스미마셍’한 일이지만 도에 관심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고 심지어 <물리학의 도>에도 꽤 관심이 컸던 시절이 있었다. 그저 잘 알지도 못하면서 물리학에 매혹된 것일 뿐이었지만. <코스모스>에서 시작된 관심은 프리초프 카프라에 이르러 좀 폭발적으로 되었고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를 알게 되면서 더욱 매혹되었다. […]

Read More

아침의 쳇 베이커 : the thrill is gone ◎

아마 일주일쯤 되었나 보다. 지난 5,6년 사이 이렇게 잠을 뒤척인 적은 없었다. 따뜻한 우유도 마셨고, 심지어 과자도 먹었다. 하지만 제대로 잠들 수 없는 하루, 또 하루다. 어딘가 쓰리기만 할 뿐, 잠이 부족한 것도 잘 모르겠다. 그러다 뒤척이다 피치 못할 반가운 아침이 왔다.

Read More

쏟아지는

처음 브라질 음악을 듣고 혹해 포르투갈어 제목들의 뜻을 찾아 헤매일 적에 가장 눈에 들어온 단어는 saudade였다. 브라질과 포르투갈에서 카보베르데까지, 파두와 쌈바, 보싸노바와 모르나까지 포르투갈-브라질만의 정서를 정확히 이해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겠지만 나는 그것이 그리움과 매우 비슷한 것이라 생각했다. minha namorada, 나의 연인을 향한 또는 특정한 장소나 시간 또는 그 모든 것이 함께 했던 순간을 향한. 그리고 […]

Read More

루즈 네그라

작은 상자 속 금관의 악기들이 흑백 텔레비젼 속에서 음을 올릴 적마다 검은 광휘을 발하던 시대 투박하게 치렁치렁하게 돌이킬 수 없이 막혀버린 커튼 너머 그 빛에 내가 혹하는 오늘 검은 빛에 둘러싸인 어딘지 모를 작은 상자 같은 곳 관을 잃어버린 악기가 적막을 토해내는 기막히게 멋진 밤     /2019. 10. 6.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