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포기

지난 늦가을 베르가못 꽃씨를 구해 두 개의 종이컵에 심었었다. 철이 맞지 않은 것은 알았으나 집안이어서 괜찮으리라 생각했다. 베르가못은 내가 제일 좋아하는 향이다. 어릴 적에 어쩌다 마셔봤던 홍차 ― 한참 뒤에야 어느 세심한 손길을 통해 알게 된 그 이름 얼 그레이 때문인지 베르가못은 향수와 그리움을 불러일으킨다. 금세 자랄 줄 알았지만 정말 깨알 같은 새싹들은 몹시도 더뎠다. […]

Read More

“카카오 씨앗”에 관한 부연

내가 쓴 시에 대해 구구절절 설명하거나 사설 늘어놓는 걸 좋아하지 않는데 이 시에 대해선 조금 다른 방식으로 시도를 해보았다. 우연히 구글 바드 테스트하다 카카오 씨앗의 초기 버전을 올렸더니 시라고도 하지 않았고 해석을 부탁하지도 않았는데(심지어 제목도 빠트렸다) 시로 이해하고 나름의 설명을 하였다. 맞는 것도 있고 틀린 것도 있는데 우선 AI의 해설을 살펴보고 내 이야기를 덧붙일까 한다. […]

Read More

존 레넌, 하이쿠, 궁금한 너의 창가

다만 그 그늘에 놀며 풍우에 쉬 찢겨짐을 사랑할 뿐이로다. /마츠오 바쇼   존 레넌에 대해 생각할 때 나는 밥 딜런 보다는 그 사람을 훨씬 좋아한다고 느낀다. 음악에 국한해서라면 (그의 노래들이 내 마음속에 언제나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의 나는 존 레넌보다 딜런을 더 즐겨 듣는 편이라 할 수 있지만 사람에 대한 생각은 한참 다르다. 오늘은 오노 […]

Read More

뭔데

그런 넉달 그런 4년 그런 20년……. 지나서 지나가다 찔 러보는 것도 아니고 뭔데 먼데 있는줄 알았는데 눈앞이었다는 것 슬 그머니 알려줘서 어떡하라는 건데 행복한지 힘겨운지 그리운지 괴로운지 어떤 사연 숨어 있는지 차마 물어볼 수 없어 마냥 기다렸는데 남아 있는 나날 돌아 보면서 행복한지 힘겨운지 그리운지 괴로운지 안절부절 생각하는데 다시 한번 상처주길 기다리는지 다시 한번 상처받길 […]

Read More

Gee whiz, I’m……

몇해만에 <스타맨 Starman>을 다시 봤다. 1984년의 SF영화는 더욱 촌스러웠다. <브라질>(1985)이나 <블레이드 러너>(1982)와 비교하면 더 그런 느낌이다. 제프 브리지스를 꽤 좋아하지만 이 영화에서의 외계인 연기는 (인간으로의 적응 과정이라지만) 안드로이드 로봇처럼 행동하는 것이 좀 어색해 보였다. 차라리 표정 없는 ‘스타맨’ 데이빗 보위가 더 나았을지도 모르겠다. 많은 것들이 소박했던 시절에 대한 그리움인지 허술한 느낌이 드는 이 영화가 묘하게도 […]

Read More

그 밤의 이야기, 미장아빔(Mise en Avyme)

그것은 코엘료의 어설픈 우화에 대한 글쓰기에서 시작되었다. “꿈을 꾼 두 사람의 이야기”가 <천일야화>의 어디에 나오고 보르헤스와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여기저기 책을 뒤졌다. 그것은 351번째 밤이 아니라 범우사 버턴판 기준으로 그것은 352번째 밤의 이야기였다.

Read More

치과 다녀오는 길

어제 하루 다시 겨울로 돌아간 것 같더니 오늘은 날이 풀리었다. 본래도 약한데다 한동안 피하기만 하다 뒤늦게 찾은 치과에서는 고칠 일도 많아 일주일에 한 두번 치료를 하게 되었다. 공교롭게도 소개받은 치과가 어린 시절의 학교 근처여서 걸어서 갈 때마다 감회가 있었다. 이제는 모두 다른 건물에 다른 간판이 들어섰지만 가는 길엔 ‘대원호텔’+이 있었고 전교 부회장을 하던 예쁘장한 여학생이 […]

Read More

카프카

거기 온갖 현학적인 추론과 해설을 갖다붙여봤자 그건 본질을 흐리고 생각을 어렵게 만드는 지방덩어리일 뿐이다. 무슨 잘못을 저잘렀는지도 모른 채 당해버린 K의 소송, 그게 무엇인지 자명하니 그는 ‘안개화법’으로 흐려놓았다. 소송에서 이길 방법은 없으나 자신만의 방식으로 싸울 수는 있다. 삶은 무슨 잘못을 저질렀는지도 알지 못한 채 당해버린 소송이다. Entwurf는 그럴 듯한 허사일지도 모를 일, 중국 마술상자처럼 열어나간다 […]

Read More

남천

아흔 아홉 구비 깎아 강릉 가는 새로 낸 길 일곱 개 터널 뚫은 휴게소 화장실 정원 구석에서 슬픈 듯 기쁜 듯 그렇게 만났다 /남천, 시냇물   창녕 집에 작게 프린트한 시 두편이 있다. 하나는 구절초, 그리고 다른 하나는 괴이한 제목에 몇줄 되지 않는 내 시다. 집에서 볼 적에 마당 왼편에는 구절초가 여기저기 피어 있고 햇빛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