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세 편의 영화, 그리고 반추

저스틴 벤슨(+아론 무어헤드)의 세 편의 영화를 잇달아 봤다. 제일 먼저 본 것은 <타임루프 : 벗어날 수 없는>이란 제목으로 나온 <The Endless>였다. 정체불명의 존재가 만들어내는  미지의 현상들이 나름의 방식으로 독특했다. 진행은 느렸어도 마지막 부분은 짜릿했고, 결말은 조금 불분명했으나 그들은 어쩐지 ‘타임 루프’를 벗어나지 못했을 것 같았다. 두번째로 본 것은 레졸루션이었다. 신기한 것은 레졸루션이 <The Endless>의 전편이기도 […]

Read More

씨, 그리고 시

창녕의 이른 아침, 바짝 마른 마당 텃밭에 물을 주고 오신 모친 손에 아주 큼지막한 참외 하나가 들려 있었다. 마당 한귀퉁이에 과일 껍질 같은 것 버리는 장소가 있는데 그 주변에 언제인지도 모르게 참외 하나가 자라고 있었나 보다. 자칫 썩혔을 수도 있었을텐데 용케 찾아 오셨다. 물 주고 거름 주고 비료 줘가면서 키운 참외가 아니어서 단맛은 좀 못했지만 […]

Read More

올웨이즈 온 마이 마인드

내게 있어 willie nelson은 “always on my mind”는 전혀 아니었다. 그런데 쟈니 캐쉬를 듣다가 ‘노상강도’ 패거리에서 그를 다시 보았고 어쩌다 가끔 들었다. 그리고 여기 팔십이 넘은 늙은 가수가 노래하는 summertime이 있다. “올웨이즈 온 마이 마인드”인 썸머타임이 몇곡 있는지라 새로운 자리가 있을지 아직 잘 알 수 없지만 그의 사그라든 여름날 또한 인상적이었다. 넬슨의 기타는 그만큼 낡고 […]

Read More

pets

최근들어 유튜브의 단편 영화들을 가끔 본다. 주로 sf인데 어떤 것은 너무 단순하고 어떤 것은 ‘언어장애’로 잘 이해할 수 없다. 하지만 어떤 영화들은 그냥 보기만 하면 된다. pets의 경우 도입부만 봐도 짐작을 할 수 있을 법한 간단한 구성의 단편 sf영화다. 우리가 일정 부분 예측할 수 있거나 전혀 상상도 하지 못할 미래에 대한 영화로 치자면 좀 뻔하고 […]

Read More

꿈속의 꿈

썸머타임…… 날짜를 찾아보면 나오겠지만 아마 이맘때 쯤이었을 거다. 지난 토요일 새벽 꿈을 꾸었다. 가장 컨디션이 좋았을 때, 그러니까 동훈형이 결핵요양소에서 막 나왔을 즈음처럼 아주 좋은 얼굴로 평소와 같이 이야기를 나누었다. 하지만 어느 순간 그가 세상을 떠났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 사실을 새삼스레 인식하게 되자 어느 순간 동훈형도 더이상 보이질 않았다. 다른 사람, 다른 장소, 다른 […]

Read More

소염진통제

꼬깃꼬깃 접혀 있는 깨알 같은 사연들 효능보다는 구구절절 부작용에 대한 변명이 열배쯤 많은 설명서 바람 빠진 풍선처럼 빛깔도 잃고 그저 굴러다닌다 구의 표면에 찍힌 점들처럼 모두로부터 멀어져가며 팽창하는 우주 속에서 혼몽 속에서 필요한 것은 작은 알약 하나 부작용이 넘쳐나는 작은 알약 하나 꼬깃꼬깃 접혀 있는 붉은 칸 어딘가 증상과 부작용 사이 효능과 금기사항 사이 수많은 […]

Read More

o it's still for you and me ◎

보르헤스의 트레저 아일랜드 ㅡ 최근에 구입한 스티븐슨의 단편집 첫 페이지를 펼치니 그가 쓴 헌정사가 있었다.(정확히 하자면, <지킬 박사와 하이드씨의 이상한 사건>에 수록된 헌정사다.) 사촌이었던 캐서린 드 마토스에게 쓴 긴 편지시의 일부라고 하는데 인상적인 헌정사라는 점에서 칼 세이건을 생각나게 했다.   하느님께서 맺어 주신 우리 인연이 끊어졌다는 것은 참으로 애석한 일이군요. 그래도 우리는 여전히 바람 불던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