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속하지 못한 모든 시간

이름마저도 햇살 가득했던 그곳, 밀양. 열네살 즈음 라디오에서 존 덴버의 take me home country road를 듣고는 무척 좋아했다. 아홉살에 부산으로 전학 온 나는 낯선 환경에 잘 적응하지 못했고 유년기에서부터 내 생각은 안으로 안으로만 향했던 것 같다. 소니 카세트라디오와 학생애창365곡집에서 얼마나 많은 고향을 그렸는지 모른다.

이제는 거의 지워져버린 향수며 그리움이건만 지금도 그 노래 생각하면 외삼촌의 커다란 자전거를 타고 달리던 시골길의 햇살과 그늘들, 묵직한 플라스틱 두레박, 그리고 차가웠던 우물물과 그 옛날의 친구들이 생각난다. 나는 잃어버린 그 느낌을 변용하여  올모스트 헤븐(존 덴버의 노래의 첫 두 단어)을 쓰기도 했다.

지금은 또 조금 다르다 할 수 있겠지만 트롯 음악 하면 나이 많은 기성세대를 연상하듯, 컨트리 음악도 내게 비슷한 느낌을 주었다. 좋아하거나 즐겨 들은 적도 거의 없었다. 그런데 타운즈 반 잰트나 리 헤이즐우드, 제리 제프 워커, 램블링 잭 엘리엇, 터커 짐머만, 그램 파슨스 등의 노래가 내 생각을 많이 다르게 만들었다. 요즘은 유튜브로 내쉬빌 스테이지에서 여러 가수들이 모여 노래하는 방송을 꽤 즐겨서 듣곤 한다.

내 느낌과 그들의 흥겨운 몰입 사이엔 꽤 많은 간극이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나는 나름의 방식으로 이해하며 내게 없는 무언가를 그리곤 한다. 올모스트 헤븐의 마지막 줄에서처럼 속하지 못한 모든 시간, 함께 하지 못한 모든 그곳만은 찬란하고 아득하기에.

무치

데.호따.무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