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세 편의 영화, 그리고 반추

저스틴 벤슨(+아론 무어헤드)의 세 편의 영화를 잇달아 봤다. 제일 먼저 본 것은 <타임루프 : 벗어날 수 없는>이란 제목으로 나온 <The Endless>였다. 정체불명의 존재가 만들어내는  미지의 현상들이 나름의 방식으로 독특했다. 진행은 느렸어도 마지막 부분은 짜릿했고, 결말은 조금 불분명했으나 그들은 어쩐지 ‘타임 루프’를 벗어나지 못했을 것 같았다.

두번째로 본 것은 레졸루션이었다. 신기한 것은 레졸루션이 <The Endless>의 전편이기도 하면서 타임 루프 존의 일부를 형성하는, 그러니까 <The Endless>의 한 부분으로 편입된다는 점이었다.(두 편의 영화 모두 스토리에서나 진행에서나 답답함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

제일 마지막에 본 <스프링>은 상대적으로 좋은 평을 받은 영화이다. 러브 스토리이기도 하고, 결혼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그 소재가 되는 것은 일정 부분 호러를 동반한 구조이다. 하지만 <황혼에서 새벽까지>에서 극적으로 변화되었던 현실과 비현실의 엉뚱하고도 극명한 전환과 달리 <스프링>에서의 괴기스런 현상은 제한적으로만 드러난다. 그들이 무엇을 택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었지만 어쨌든 그곳엔 사랑이 있었다.

 

Image result for resolution 2012  Image result for the endless  Image result for spring 2014

 

<스프링>에는 내가 그렸던 어떤 세계가 있었다. 왜소하고 약해 보이지만 나름 강하고 분명했던 남자 주인공의 캐릭터는 마이클 스타이프나 톰 요크(이쪽에 더 근접하는 듯)의 느낌이 들었다. 디테일이 전혀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그가 사랑에 빠졌던 그녀가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하던 시대의 폼페이에서 태어나  그 시절을 살았다는 이야기는(특히나 빵집에도 들렀다는 것은) 새삼스레 내 가슴을 뛰게 했다. 왜냐하면 나 자신이 (시 속의 화자로서) 그 시대 폼페이에서 빵가게를 했었기에 그녀를 만났거나 알고 지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상상 속에서  거기서 살다 죽었고, 그녀는 영화 속 그 세계에서 태어나 오늘날까지 살아남았다.  또 그의 선택은  내가 실현한 적 없는 변심에 대한 내 느낌과 일치했다.

<Endless>를 나름 흥미롭게 본 까닭에 <레졸루션>과 <스프링>까지 보게 되었다. 영화로서의 완성도와는 상관없이 <스프링>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그녀의 실체를 알고도 사랑했고 삶의 어떤 때에 나는 그녀의 실체를 전혀 알지 못했기에 퍼펙트한 그녀가 버겁고 과분할 따름이었다. 천민에게 잘못 전달된 귀족의 옷인양. 결함으로 해서 그녀를 사랑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이제 와서 아무런 의미도 없는 생각일 뿐이지만 아무 것도 알지 못했던 나는 정말 바보였다. 또 자기 비하가 아닌, 부족하고 모자란 나를 일깨워달라고 말하지 못한 나는 참으로 어리석었다. 그런 면에서 스프링의 그는 어떤 이에 비할 수 없는 멋진 사람이었다.

 

 

/2018. 9. 4.

무치

데.호따.무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