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보옥이 등장하는 짧은 이야기를 보르헤스에서 읽은 적 있다. 보옥이 (꿈에) 자신의 집과 흡사한 집에 들어가 비슷한 여인들을 만나고 비슷한 꿈을 꾸었다는 자신을 만나고 깨어나는 이야기인데 <홍루몽>을 읽은 적이 없어 어느 대목에서 나오는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천일야화의 사연이 담긴, 그러니까 세헤라자데가 샤 리아르에게 자신들의 사연을 남 이야기처럼 하는 것이 1001일 가운데 어느 밤이었는지 찾아냈듯이 보옥의 꿈을 찾아보고는 싶다.
가보옥의 꿈에 관한 이야기는 꿈이 현실을 만들고 그 현실이 다시 꿈을 만들고 깨어나는 자기조직적인 구조다. 에셔나 천일야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로 비일상적인 형태의 쳇바퀴라는 점에서, 그리고 비현실적 상황에 어떤 완벽성을 부여한다는 측면에서 매력적이다.
천일야화의 “꿈을 꾼 두 사람의 이야기”(삼백오십일번째 밤) 또한 그런 면으로는 아주 완벽하다. 꿈이 또 다른 꿈이나 현실을 초래하고 현실이 다른 현실 또는 꿈을 불러일으키는 이야기들이다. 그것은 러셀이 어릴 적에 꾸었다는 꿈처럼 스스로 당위성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뒷면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확실하지 않은 이야기이다”라고 적힌 종이를 뒤집었더니 “뒷면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확실하지 않은 이야기이다”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본 꿈에 관한 이야기였다. 코엘료와 그의 지지자들에겐 좀 미안한 이야기지만 <연금술사> 또한 “꿈을 꾼 두 사람의 이야기”를 365일의 꿈으로 늘인 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한편 그런 꿈에 대한 관심, 심지어는 꿈 그 자체조차도 시간과 공간, 세월과 나이와 형편에 따라 제한당하기도 하고 스스로 구속되기도 한다. 그래서 나는 꿈이 현실을 부르고 현실이 꿈을 인도하는 듯한 보옥의 꿈을 꾼지 너무도 오래이고 그래서 지금도 보옥의 꿈을 꾼다. 꿈은 그저 꿈일 뿐이기도 하고 그것을 꿈꾸는 것이기도 하기에.
꿈을 꾼다는 그 여인을 꿈꾸었네
그녀가 나와 함께 꿈꾸고 있다는 꿈을 꾸었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2018.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