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 árbol que tú olvidaste
siempre se acuerda de ti,
y le pregunta a la noche
si serás o no feliz.
유팡키라는 성을 지닌 그 이름을 듣기 수십년 전부터
아타왈파는 내게 있어 가슴에 맺혀 있는 이름입니다.
오래도록 중남미의 역사에 매혹되었던 내게 있어 아타왈파는 가장 드라마틱한 상징이었습니다.
이후에도 왕조가 몇대 이어지긴 했으나 그는 스페인에 정복당한 잉카의 마지막 왕이었지요.
프란시스코라는 세례명을 받고 천주교인으로 죽어 부활을 꿈꾸었던 ‘the last inca’ 말입니다.
(그 무렵의 나는 잉카와 아즈테카의 이름없는 백성인양
세상에서 가장 싫은 나라가 스페인이었고 피사로와 코르테스는 증오의 대상이었습니다.)
문명의 전달자, 또는 문명 그 자체였던 콘 티키 비라코차가 떠나간 자리,
콘도르의 꿈을 남긴 채 아타왈파가 날아가버린 그 땅에
엑토르 로베르또 차베로 아람부루(héctor roberto chavero aramburu)라는 긴 이름 대신
“먼 땅에서 와서 이야기하는(노래하는) 사람” ㅡ 아타왈파 유팡키(atahualpa yupanqui)가 찾아왔습니다.
그의 삶의 행로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것은 아닐지 모르지만
투박한 목소리와 가슴을 쥐어뜯는 듯한 기타 소리는
세상 무엇보다도 강렬한 악기가 되어 마음을 움직였지요.
당신이 그 나무일지 내가 잊혀진 나무일지
이도 저도 아닌 그저 그 나무에 잠깐 앉았다 날아가버린
“봄날의 작은 새”일지도 알 수 없지만
벚꽃이 활짝 핀 이 봄날에 당신이 잊어버린 나무를 생각합니다.
하지만 한걸음 떨어져 귀기울일 때 그의 노래는 보다 진실되게 들리고
나는 잊어버린 나무를 좀 더 잘 그릴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것이 영영 잃어버린 나무라고 할지라도요.
또 당신이 나라고 할지라도요.
당신이 잊어버린 나무는
늘 당신을 기억해요
당신이 행복한지 어떤지
밤에 묻지요……
/2018. 3. 28.
+
일부 잉카에게 ‘유빵끼(선조를 존경하는 사람)’라는 호칭이 붙어 있었지만
마지막 왕은 그냥 ‘아따왈빠’입니다.
/srs. 201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