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그 책의 이름을 알게 된 것은 아마 15, 6년 쯤 전이었을 것이다. 어디로부터 내게 왔는지 모를 <허구들>과 보르헤스 관련 몇몇 서적의 역자 주석과 해설에서 숱하게 그 이름을 발견할 수 있었지만 번역본은 없었다. 한참 뒤에 읽게 된 보르헤스의 에세이집을 무척 좋아했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바로 그 책이었다. 출판사는 보다 구매력 있는 제목을 원했겠지만 나는 바뀐 그 제목이 그리 탐탁치는 않았다.
하지만 제목이 무엇이라 붙었던들 그 책, <또다른 심문 otras inquisiciones>은 내게 의미있는 방향타가 되어 주었다.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의 노래 한 곡에 대한 집요한 관심이 브라질 음악에 대한 내 이해의 폭을 다방면으로 확장시켜준 것과 비슷한 것일지도 모르겠다.(사실을 말하자면 보르헤스의 상당수 에세이가 내게 그랬다. 바벨의 도서관 해제도 물론.)
아무튼 그 책의 ‘카프카와 그의 선구자들’이란 에세이에서 나는 레옹 블루아(이전의 책에는 영어식 표기로 ‘레온 블로이’라 되어 있었다)를 다시 보았고 로드 던세이니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다행이도 <바벨의 도서관> 시리즈에는 두 작가와 그들의 이야기가 각기 수록되어 있었다. 아무리 노력해도 자신들이 정착한 마을 ‘몽쥐모’를 떠날 수 없는 부부의 기구한 삶이 있었고, 그와 반대로 결코 도달할 수 없는 전설의 도시 ‘카르카손’을 향한 원정대의 허망한 꿈을 다룬 던세이니의 이야기도 있었다.
블루아의 단편에는 일정 부분 블랙 코메디 같은 분위기가 있었고 던세이니의 경우는 중세 무용담의 형식에 삶 자체에 대한 은유를 담담한 어조로 담아내었다. 던세이니는 한번도 만난 적 없는 이가 보내온 편지에 인용된 출처불명의 한 줄 “그러나 그는, 그 사람은 결코 카르카손에 도달하지 못했다”를 통해 이 단편을 썼다고 한다.
아무리 애를 써도 떠날 수 없는 곳과 수많은 세월을 진군했음에도 닿지 못하는 곳, 내 생각에 삶은 그 두 장소 모두인 것 같았고 나 역시 그 두 곳을 오가며 절망하고 희망하는가 싶었다. 하지만 어쩌면 몽쥐모와 카르카손은 결국 같은 공간의 다른 이름일지도 모를 일이다.
“but he, he never came to carcassonne.”
/2017. 1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