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치정)살인의 추억

“치정살인”이란 단어는 내가 썼던 그 노래에 대한 가장 간략한 정의였다. 본인이 기억하고 있을지는 모르지만 오래도록 연결이 끊어진 채인 그가 플로라를 알게 된 것은 레코드판에 바늘을 올리던 내 손끝에서였다.

그런데 이 단어를 친구의 아이디로 들어간 고등학교 동창 ‘밴드’에서 보게 되리란 생각은 정말 못했다. (현재 내 폰에는 ‘밴드’도 ‘페이스북’도 없다. ‘카톡’을 쓸 일도 없다.) lily of the west 만큼이나 씁쓸한 느낌이었다.

1999년 7월 25일, 나는 그 글을 썼고, 더 오래전 “천리안” 어딘가에도 썼었다. 그 친구가 나인줄 모르는 내가 거기 있었고 ‘이작자’가 나인줄 모르는 그 친구도 거기 있었다.

비슷한 무렵이었다. 안부와 함께 조금 냉소적인 메일을 그에게 보냈더니(메일 주소가 그 친구 아내의 아이디로 되어 있어서였는지) 누군지 모르지만 스토커짓 계속하면 신고하겠다는 답장을 보내왔던 친구. 그래서 더 냉소적인 답을 쓰면서 나라는 걸 알렸더니 좀 씁쓸해 했었다.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지만 메일을 보낸 것은 안부를 묻고 싶어서라기보다는 무엇이 될지 모를 “이작자 여인숙”이 나의 숨겨진 ‘유로파’이기를 바랬기 때문이었다. 아써 클락의 스페이스 오딧세이 시리즈에 나오는 절대 착륙하지 말라던 유로파 말이다. 소설 속에서처럼 ‘불시착’이라면 어쩔 수도 없지만. 그가 유로파를 방문했는지도 잘 알 수는 없지만.

그리고 2006년의 어느 봄날, 예고도 없이 찾아온 그를 잠깐 만났다. 나의 한심함에 일조하는 그의 이야기를 들으니 그다지 달라진 것은 없다 싶었다. 하염없이 걸어 내려가다 어느 순간… <1984년>의 윈스턴 스미스처럼 쥴리아처럼 군중 속에서 슬그머니 멀어져간 이래 지금까지 그 친구를 다시 만난 적은 없었다. 한 두 해 전 어렵사리 핸드폰 번호를 찾아내긴 했으나 나는 여태 그 11자리의 숫자를 돌이킬 수 없는 추억처럼 간직해왔을 뿐이다.

flora나 또는 flora의 애인을 죽여버린 노래속의 주인공을 생각하면 우리들의 스토리에도 뭔가 ‘치정살인’ 같은 면이 있는 것도 같다. 플로라 때문에 살인이 난 것은 물론 아니었으나 나라는 인간, (심히 덜떨어진 시의 형태로) 살아 있는 그의 부고장도 썼던 사람이었으니……

 

 

+
내가 누군가를 죽였다면 플로라였거나 아니면 나였거나 둘 중에 하나였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나라면 오늘의 나는 <멀홀랜드 드라이브>의 죽은 주인공이 꾸는 뒤죽박죽의 꿈 같은 것일 게다.

 

 

/2017. 10. 11. 풀리

 

무치

데.호따.무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