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헉슬리는 말했다

내가 그 목욕탕에서 목욕을 한 것이 얼마나 오래되었는지 잘 모르겠다. 적어도 20년, 어쩌면 30년 쯤 되었을지도 모르겠다. 어느 여름 날, 몇 번인가 거기서 영화의 한 대목을 찍기도 했던 오래된 목욕탕 맞은 편의 더 오래된 단층 건물에 자그마한 카페가 생겼다. 이름은 <더 프라이빗>이다. 영화를 찍은 거리라곤 하지만 오래되었을 뿐, 그다지 분위기 있지도 않는 이 동네에 이런 카페가 되겠냐 싶었지만 그 안은 거리와 어울리지 않게 꽤 화려해 보였다. 그리고 입간판에는 <오픈 / 더 프라이빗>이라는 글씨가 금빛으로 번쩍이고 있었다. ‘프라이빗’의 오픈이라니 좀 어폐가 있어보였지만 빚을 내어서라도 프라이빗을 오픈하여 빛을 내기도 하는 것이 요즘 시절인지라 프라이빗에서 오늘 읽은 칼럼 속의 헉슬리를 생각하였다. “각자의 기억은 그의 사적인 문학이다. – 올더스 헉슬리.” 내가 다른 방식으로 허접하게 표현했을 뿐이지만 단출하고 명료한 것이 정말이지 <멋진 신세계>의 저자다운 멋진 말이다.(“옥아”라고 부르던 그 순간이, 그녀의 이름이내게  詩처럼 들렸던 것도 비슷한 이유였을 것이다.) 그리고 한때 내가 부지런히 읽었던 숱한 과학철학 서적에서 그의 이름에 맞딱뜨리던 생각을 하며 나는 문득 궁금해졌다. 어느 책에서, 어떤 강연이나 에세이나 또는 발표된 적 없는 원고에서, 어떤 이야기에서 그 말이 나왔을지에 관하여. “every man’s memory is his private literature. /aldous huxley.” 하지만 어느 인용에도 헉슬리가 어디서, 또는 어느 책에서 그렇게 이야기했는지 출처에 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었다. 그저 헉슬리가 말했다고만 이야기들을 할 뿐이었다. 이 세상에 나 비슷한 의문을 가진 사람들이 있어 몇몇이 질문을 던져놓은 것도 봤으나 누구도 정확히 답한 사람은 없었다. 다만, 어느 책에도 그런 문장은 없고 그가 그렇게 말했다고 알려져 있을 뿐이다. 우리나라에선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the sense of an ending>의 해설에 인용되면서 더 알려진 것도 같은데, 번역자 역시 헉슬리가 말했다고만 했을 뿐이다. 진짜와 가짜가 뒤죽박죽인 세계에서는 마음에 닿는 한 줄이 중요할 뿐 그것이 누구의 말이든 그다지 상관이 없지만, 헉슬리는 말했다. 모두가 헉슬리가 말했다고들 한다. 그리고 그 자체가 사적인 멋진 문학이고, 문학이라고 말하기에는 헉헉 숨이 차고 빛을 발할 프라이빗 같은 것은 없지만 나도 사적이긴 하다. 인용만 남아 떠돌아도 ‘그들 각자의 영화관’처럼.

 

무치

데.호따.무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