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장사익 모친의 한수

장사익에 대한 기사를 읽었다. 그리 열심히 노랠 들은 것은 아니지만 이분 이야기 나오면 빠짐없이 보는 편이다. 나 같은 이가 배울 점이 많아서 더 그렇다.

이분 주름살에 대한 이야기도 가끔 나오던데 노래하는 모습은 어쩐지 까이따노 벨로주와 비슷한 뭔가가 있는 느낌이다. 주름살도 그렇고. 어떤 다른 길을 갔다고 하더라도 결국 노래를 하게 될 사람들이었다고나 할까.

그의 모친께서 아들 서울로 보내고 딱 한번 편지를 써서 보냈다는데 짧은 그 내용이 그대로 시였다.

내가 열여덟에 읽었으나 결고 잊혀지지 않는 (이후로 본 적이 없어 제목도 잊었고 내용도 까마득히 잊었다!) 석주명의 나비에 관한 짧은 에세이 같은 느낌이었다. 너무 많은 것이 있으니 말할 필요도 말할 수도 없는 당연하고도 깊디 깊은 감정 말이다.

 

                      볍모가지가 나풀나풀한데
                      건강 조심허구 맛난 거 사먹어라

 

모친께서 글자에 서툴렀다고 했으니 ‘형언할 수 없는 것들’에 관해 더더욱 짧은 줄에 담아 표현해야 했었나 보다.

그래서 이 글은 참으로 많은 생각 끝에 나온 두 줄이고 어머니가 자식에게 가질 수 있는 많은 느낌과 사연의 필연적이고도 절박한 함축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내 느낌으론 광화문에서 우리 동네 초등학교 앞에까지 걸려 있는 몇몇 짧은 시편들에 결코 부족하지는 않다 싶었다.

어떤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한들 보고 읽고 듣고 느끼는 이에게는 시가 아니어도 틀림없는 시인 것이다. 이게 왜 시냐고/시가 아니냐고 구구절절 설명할 필요도 없이. 그것은 어떤 경우라도 불변이며, 나의 아주 작은 시론은 그렇다.
…내 마음이 변치 않는 한.

 

+

기자 또한 당연히 그 글을 시처럼 느끼기는 했으나 마지막 문장으로 볼 때 그의 느낌은 그저 ‘시적 표현’으로 여긴 듯한 느낌이 든다. “볍모가지가 나풀나풀 할 것 같은 오후”란 표현으로 글을 끝맺은 것이 그랬다. 그것은 모친의 많은 생각이 담겨 있는 한 줄을 단순히 ‘가을’이라는 시점으로만 환원시켜버릴 소지가 있는 것이었기에 쓰지 않았다면 더 좋았을지도 모르겠다.

 

/2015. 10. 26.

무치

데.호따.무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