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별을 들여다보다
위인전과 고전음악과 서가에 꽂힌 명작전집들에 괜스런 반감을 가졌던 어린 시절처럼 스탠다드 음악에 대해서도 비슷한 어리석음을 나는 오래도록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애써 관심을 갖지 않았던 것들도 몇몇 있기는 있었나 보다.
재즈, 특히 스탠다드 재즈가 그러하였고, Stardust란 제목(‘노래’가 아니라 ‘제목’이다)의 경우도 비슷하였다. 그리고 그것은 영어에 관해 잘 알지 못하는 내가 그 무슨 뜻인지 얼른 닿지 않는 단어 가운데 하나이기도 했다. 사전 찾아볼 생각은 않고 노래 제목 보면 star에 그 무슨 dust일까… 뭐 별무리 그런 것일까… 아니면 단어 그대로 ‘성진 星塵’일까… 그런 생각들을 했을 뿐이었다.
호기 카마이클의 노래를 들었을 때 나는 또다시 그런 엉뚱한 생각들을 반복하였다. 수많은 사람들이 노래한 곡이라 우리 귀에 더 편한 스타일도 많겠지만, 나는 작곡자의 옛스런 분위기 그대로가 제일 좋은 것 같다. 그것은 그의 삶의 궤적과 비슷한 느낌을 준다. 잔잔하고 게으른 분위기의 피아노 연주와 나직한 목소리, 그리고 휘파람 소리까지가 그러하다. 어쩐지 <카사블랑카>에서 피아노를 연주하던 사람 같은 느낌도 든다.
열 네 살 적에 우연히 백일장에 나가게 되어 <그림자>라는 정해준 제목으로 시를 쓴 적이 있다. 그때 나는 “혼자 앉아 밤하늘을 들여다 보며…”라는 구절을 넣었는데 스타더스트 듣다 보니 문득 그 생각이 났다.
사전을 열어 찾아본 결과는 ‘小星團 소성단’, ‘宇宙塵 우주진’ 그리고 ‘恍惚 황홀’이었다.(코케인의 은어로 사용되기도 한다고 한다.) 지금도 노래 속의 스타더스트가 지닌 정확한 의미를 알기 어렵지만 노래로부터 그 단어가 어떤 것인지 느낄 수는 있다. 이 노래는 호기 카마이클의 원곡과 피아노 연주가 주는 옛스러움에 빠져드는 것도 좋고, 까이따노 벨로주가 조곤조곤 속삭이듯 노래하는 버전도 충분히 아름답다.
스타더스트가 그리움을 노래하는 이 밤, 아주 낡고 오래된 별빛이 아스라히 (아마도 42광년쯤의 거리로부터 날아와) 부서지고 있다. 그림자도 따라서 밤하늘을 들여다본다.
Sometimes I wonder why I spend
The lonely night dreaming of a song
The melody haunts my reverie…
2006. 12. 1. Rever Lee (from “Rever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