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도자기' 타령

그들이 들려줬던 어떤 노래 하나만으로도 마음에서 지워질 수 없는 incredible string band. 초기의 앨범들을 특히 좋아하지만 잊을 수 없는 노래 하나가 여기 또 있다. 1970년의 라이브 앨범에 수록된 willow pattern이 바로 그 곡으로 풋풋하고 상큼한 느낌 때문인지 해마다 봄이 되면 생각나는 노래이기도 하다.
이 노래의 유래는 단 하나인데 결과물은 나름 다국적으로 되어 있다. 라이브에서 밴드는 이 곡을 중국풍의 노래로 소개하고 있지만 원곡은 중국이 아닌 한국의 경기도 지방에서 불리우던 세마치 장단으로 된, 모두가 알고 있는 우리 민요 <도라지 타령>이다. 하지만 그들이 만들어낸 제목과 가사는 중국 왕실에서의 금지된 사랑을 소재로 하고 있고 incredible string band가 부른 것이다. “by 로빈 윌리엄슨”이라고만 되어 있어 (가사는 그가 쓴 것으로 추측되지만) 곡에 대한 명확한 정보는 없다.
 
도라지 도라지 백도라지
심심산천에 백도라지
한두 뿌리만 캐어도
대바구니 철철철 다 넘는다
에헤요 에헤요 에헤에요
 
하지만 willow pattern의 가사는 도라지 타령과는 달리 공주와 평민(?)의 사랑을 소재로 하고 있는데 밀정에게 발각되어 참혹한 죽음에 이르게 되지만 한쌍의 비둘기가 되어 함께 하리라는 이야기다.(도라지 타령의 경우는 이와 달리 천안 삼거리나 맹꽁이 타령과 같은 일부 민요/가요와 비슷한 상징도 포함하고 있는 거 같다.)
인트로는 자신들이 나름의 방식으로 덧붙였고 전반적으로 중국풍이 강하지만 ‘감초 리키’가 가사 속의 공주가 되어 특유의 고음으로 ‘도라지 타령’을 노래한다. 그들의 결혼을 약속하는 대목은 두 사람이 함께 즐거이 노래하고 왕이 분노하는 대목은 음악극 같은 분위기를 풍기는데 예의 ‘호이호이야’는 억양을 바꿔가며 중국말(?)을 대신하는 분위기이다.
포폴 부흐 앨범의 신비로운 코러스가 윤이상의 딸이었다는 것도 신기했지만 비슷한 시기에 우리의 민요가 불려졌다는 것도 웁스아트라고 할만큼 특이한 케이스인 듯 싶다. 월드뮤직을 다루는 푸투마요나 세계 온갖 뮤지션들이 참여하는 플레잉 포 체인지에서 우리나라의 노래나 가수, 연주자를 보기 힘든 것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에헤요’가 ‘호이호이야’로 바뀌었고 “한두 잎만 따도 다랭이가 철철 넘는 민요의 무대”+는 중국으로 넘어갔고 이들은 라이브의 서두에 중국풍의 영국 노래라고 소개하고 있지만 그 곡조는 하나도 틀리지 않는 도라지 타령이다. 표절이든 오해든 이들에게 도라지 타령을 들려준 사람은 누구이고 또 어떤 경로였을지……
윌로우 패턴의 원형은 중국을 무대로 해서 만들어진 영국 이야기인 듯 싶고 그것은 또 도자기(청화백자)의 문양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우리의 도라지 타령이 ‘본 차이나'(도 아닌) ‘도자기 타령'(?)이 되어버린 것이 아쉽지만 내가 좋아하는 포크 그룹의 연주로 우리나라 민요를 듣는 느낌은 (비극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이 곡이 전해주는 동양적인 봄날의 분위기처럼 신기하고 반가운 느낌이었다.  하나의 문화가 몇 갈래의 길을 거쳐 다른 세계에 전해질 때 본래의 텍스트는 어떻게 남고 어떤 방식으로 변화를 겪는지에 관해 이 노래를 들으며 상상해보는 것도 나름 흥미로운 일이다.
오랜만에 이 노래 들으니 다시금 크리스티나 리커러스 맥케니에 관해 생각하게 된다. 내가 꼭 쓰고 싶은 글(에세이 형식의 단편) 가운데 하나는 그녀에 관한 것이다. 그들의 첫 번째 노래처럼 메이비 썸데이, 언젠가 내게 올 것을 믿으며. 하지만 패스트볼의 토니 스캘조처럼 또는 그것을 시로 풀어낸 이창기처럼 나름의 방식으로 그녀를 존재하게 할 수 없다면 마음 속에만 있을 것이다.
이들이 ‘도라지 타령’을 라이브로 노래한 것은 1971년 3월 18일이었다.
 
+
산촌여정, 이상.
 
 

/willow pattern
 

무치

데.호따.무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