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블록
“여섯시에요, 할아버지.”
세상에 이런 아름다운 시계가 있었습니다. 아마도 말썽장이 피노키오가 시계 소녀로 바뀐 것 같습니다. 피노키오의 할아버지같은 솜씨 좋은 시계공이 만든 필생의 ‘예술품’이 그녀였습니다.
그다지 특별한 사건이 없는 이 짧고도 동화같은 이야기는 마지막 부분의 반전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나’는 오래된 시계를 고치러 울리치 클레임 시계점에 들렀다 우연히 알게 된 리사를 몹시 사랑하게 되었습니다. 할아버지는 두 사람의 결혼을 필사적으로 반대했고, 리사 역시 할아버지의 편이었기에 주인공은 결국 그들을 떠납니다.
그렇지만 마음을 속일 수는 없는 법, 리사는 병(물론 가슴에 병이 났겠지요)에 걸리고 말았습니다. 지극한 정성으로 밤낮 리사를 간호하던 할아버지는 그녀의 병을 고치고는 탈진해서 그만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오래도록 어둠 속에 혼자 버려져 있던 리사를 찾아 끌어안은 나는 깊은 연민과 후회 속에 그녀의 가슴에서 째깍대는 시계소리를 들었습니다.
리사. 착하고 순결한 사람. 사랑하는 사람이 시계였습니다. 리사의 가슴에서 들리는 시계 소리에 비명을 지르며 달아나는 그였습니다.
<싸이코>를 쓴 로버트 블록이기 때문일까요. 공포소설이 가지는 반전의 매력에 집착한 작가의 조금은 냉정한 선택이라 해야 할까요… 그를 탓할 이유는 아무것도 없지만 도망치는 나는 너무 무정하였습니다.
만약 내게 그런 일이 있었다면, 또는 내가 글을 썼다면 ― 그것이 좀 시시하고 유치한 끝맺음이라고 해도 ― 나는 그녀를 데리고 나왔겠습니다.
현실 속에서… 어쩌면 많은 사람들이 그처럼 도망쳤을 것이고, 어쩌면 많은 리사가 지금 이 순간 어두운 방안에 쓰러져 있겠지요. 그걸 생각하면 더욱 그녀의 손을 잡아야 했습니다.
이 단편을 읽노라면 자연스레 Cat Stevens의 Sad Lisa가 떠오릅니다. 물방울 소리같은 피아노 아르페지오에 이어지는 애처로운 멜로디입니다.
Sad Lisa (by Cat Stevens)
She hangs her head and cries in my shirt
She must be hurt very badly
Tell me what’s making you sadly
Open your door don’t hide in the dark
You’re lost in the dark, You can trust me
Cause you know that’s how it must be
Lisa, Lisa, sad Lisa, Lisa
Her eyes like windows, tricklin’ rain
Upon her pain, getting deeper
Though my love wants to relive her
She walks alone from wall to wall
Lost in her hall she can’t hear me
Though I know she likes to be near me
Lisa, Lisa, sad Lisa, Lisa
She sits in a corner by the door
There must be more I can tell her
If she really wants me to help her
I’ll do what I can to show her the way
And maybe one day I will free her
Though I know no one can see her
Lisa, Lisa, sad Lisa, Lisa
하지만 결코 용서할 수 없는 ‘나’입니다. 마네킹 인형과 사랑에 빠진 주인공을 그린 존 콜리어의 단편 <특별배달>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습니다.
자신이 사랑하는 마네킹 ― 전적으로 플라토닉한 사랑이었습니다 ― 때문에 직장에서 쫓겨날 신세가 된 앨버트 베이커는 ‘그녀를 훔쳐서’ 여기 저기 도망다닙니다. 그 사이 말못할 고초를 겪지만 오직 그녀와 함께 있다는 것, 그녀가 망가지지 않게 지켜준다는 데서 삶의 기쁨과 행복을 간직한 사람이었습니다. 결국 그녀와의 사랑 때문에 비참한 종말을 맞이하지만 그는 그녀와 영영 함께 할 수 있었습니다.(쇼윈도 너머의 마네킹을 사랑하는 남자에 관한 페리 코모의 옛 스윙 넘버 ‘글렌도라’가 비슷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차라리 <같은 시간 같은 장소>의 주인공처럼 ‘괴물과의 결혼’이었다면 그의 도망을 이해할 수는 있습니다. 그 끔찍한 결혼식장의 풍경을 목격하고 초라하고 혐오스런 집으로 돌아와 안도하는 그를 연민의 눈으로 바라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비명을 지르며 도망친 ‘나’는 정말 비겁한 인간이었습니다. 리사의 가슴은 기계처럼 세월을 지켰지만 ‘변심’은 그녀가 아니라 그의 것이었지요.
리사와 마네킹. <특별배달>의 소심한 주인공이었다면 어땠을까요. 그 둘을 바꿀 수 있었다면 정말 좋겠습니다. 나는 용기없는 인간이지만 만약 내가 리사를 만나 사랑했다면 평생토록 그녀와 행복하였겠습니다. 기꺼이 시계공이 되어 평생을 함께 하며 리사를 돌보았을 것입니다. for Happy Lisa…
“리사, 지금 몇시지?”
그녀의 행복한 가슴이 째깍째깍 뛰고 있습니다.
/1999. 7. 7.
일러바치기 심장+
귀를 대어보세요.
그녀의 가슴이 째깍거립니다.
눈을 감으면 더 잘 들리는 법
한 시간이 한순간처럼 지나갑니다.
다들 그러하듯 말 못할 사연이 있는 그곳
그냥 그대로 얼어붙은 초점입니다.
그러던 내 가슴에 손 얹어보면
아무것도 움직이지 않습니다.
귀를 대어보세요.
다들 그러하듯 그렇게 세월이 흘렀습니다.
도무지 이길 길 없어 멈출 법도 했건만
한 번쯤 참지 못해 달아날 법도 했건만
찰나를 세월처럼 지켰습니다.
1999. 7. 6.
+
에드가 앨런 포의 단편, <The Tell-tale Heart>에서 따온 제목.
이 시는 <변심>에 관한 글보다 하루 전에 썼는데 비슷한 내용을 다른 방식으로 담았다.
영화가 있었는데 기억이 안나네요. 마네킹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 마네킹이 사람으로 변하고 그랬는데. ^^
전 이작자님 글을 참 좋아해요. 이런글이요.
근래 읽은 모든 글중에 가장 감성을 건드리는 글이네요.
세월을 지킨 그녀의 가슴에 답할수 있는 이는 누굴까요.
리사에 관해 쓴 것은 아주 오래 전이었지요.
그때는 이 글처럼 마음이 보이는 글을 많이 썼고 그 마음 전해주고 싶어 더 그랬습니다.
진심을 담으려, 보여주려 애를 썼지요.
지금은 거의 드러내지 않는 것을 편하게 생각해서 일종의 ‘평탄작업’을 하곤 합니다.^^
제트님의 마지막 한줄은 그 안에 답을 위한 방법이 있는 것도 같습니다.